1. 무장애의 개념과 절차 무장애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동등한 접근과 참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의미한다. 이는 법적인 측면에서도 보장되어야 한다. 우리나라는 2008년에 "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"을 제정하여 무장애 사회를 추진하고 있다.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가 필요하다. 접근성 평가 및 계획 수립 장애인들이 일상생활에서 당면할 수 있는 접근성 문제를 파악하고 장애인 차별 금지법에 규정된 기준을 충족시키는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. 이를 위해서 도시계획, 건축물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접근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. 장애인 참여의 기회 확대 무장애는 단순히 환경을 개선하는 것뿐만 아니라, 장애인들의 참여와 기회 또한 보장해야 한다. 장애인들이 평등하게 일자리..